우리나라 역사에 길이 남을 치욕의 날이었습니다. 이날, 일본의 강압에 못 이겨 대한제국은 을사늑약이란 것을 강제로 체결하게 되었습니다.
을사늑약은 합법적이고 평화로운 절차로 체결된 진정한 의미의 '조약'이 아니었죠. 오히려 일본의 저열하고 비열한 위협과 협박 아래 강요된 불평등 조약이었습니다.
👇 꼭! 함께 챙겨 보시면 좋습니다. 👇
목차 |
을사조약
1905년 11월 17일, 우리나라 역사에 길이 남을 치욕의 날이었습니다. 이날, 일본의 강압에 못 이겨 대한제국은 을사늑약이란 것을 강제로 체결하게 되었습니다. 을사늑약은 합법적이고 평화로운 절차로 체결된 진정한 의미의 '조약'이 아니었죠. 오히려 일본의 저열하고 비열한 위협과 협박 아래 강요된 불평등 조약이었습니다.
그날의 광경을 상상해보시죠. 일본군 병력이 경운궁을 포위하고, 황제와 대신들을 위협한 채 조약 체결을 강요했습니다. 반대하는 이들에겐 가혹한 협박과 위협을 가했습니다. 하야시 공사는 대신들에게 "조약에 서명하지 않으면 황실은 물론 온 나라를 초토화시키겠다!"고 으름장을 놓았다고 합니다. 이토 통감도 직접 궁궐로 쳐들어와 황제께 알현을 청해 조약 체결을 강요했죠.
이 씻을 수 없는 치욕 아래 대한제국의 외교권은 일본에 완전히 빼앗기게 되었습니다. 가슴 아픈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이토는 통감으로 임명되어 우리나라의 주권을 마음대로 좌지우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는 명백히 일본의 식민지화 프로젝트의 마지막 공정이었죠.
애국지사 격렬한 반발
을사늑약이 강요되자 온 나라가 들고 일어났습니다. 유림과 애국지사들이 가장 앞장섰죠. 먼저 특진관 이근명이 을사오적의 처벌을 주장했고, 비서감 경 이우면, 박기양, 사직서 제조 박봉주, 중추원 의장 민종묵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또 전 비서원 승 윤두병, 의정부 참찬 이상설, 이유승, 박종빈, 정홍석 등도 탄핵 성토에 가세했습니다.
최익현은 상소를 올려 "고종 황제께서는 숭정제처럼 순국할 각오가 없느냐?!"며 질타했습니다. 안병찬도 "오적의 머리를 베어 저잣거리에 매달라!"고 주장했죠. 모두들 만국공법을 들어 을사늑약의 부당성과 무효를 강변했습니다. 이러한 반발에 고종은 "경들의 충정스런 말을 모르겠는가?"라고 답변하는 것으로 애꼈습니다.
홍영식의 형 홍만식도 독약을 들이켜 목숨을 끊으며 항거했습니다. 주야로 계속된 대신들의 상소에 고종은 주동자 조병세와 이근명을 도성 밖으로 추방했죠. 이내 조병세도 일본 헌병에 체포되고 말았습니다. 애석하게도 유림과 애국지사들의 격렬한 반발은 일제의 무자비한 탄압에 부딪혀 번번이 무력화되었습니다.
삼전분지의 부르짖음
이 비극의 현장에서 수많은 애국지사들이 목숨을 바쳤습니다. 민영환 시종부 무관장은 상소문을 두 번이나 올린 끝에 스스로 목숨을 끊었습니다. 청년들도 뜻을 모아 "을사늑약은 무효다! 독립투쟁하자!"며 그토록 삼전벽해하던 모습이 눈에 선합니다.
영령들의 한탄
을사늑약 강요 당시 고종의 비통한 심정이야 가히 짐작이 갑니다. 그러나 당시에는 일본의 군사력 앞에서 항거할 엄두를 내지 못했습니다. 역시 "충정스런 말은 알겠다"며 울분만 토로했을 뿐이었죠.
후에 고종께서 아관파천으로 인력을 규합하고 헤이그 특사를 파견하셨지만, 일제의 방해로 수포로 돌아갔습니다.
마무리
을사늑약이라는 아물지 않는 한이 지금도 우리 민족에겐 역정으로 남아있습니다. 당시 만세를 부르며 났던 청년들의 절규 소리가 들리는 듯합니다. "을사늑약은 무효다! 우리는 주권을 지켜낼 것이다!" 영령들의 한탄 소리가 바람결에 실려옵니다. 가슴 아픈 역사의 한 페이지로군요.
같이보면 좋은 글